제품소개 / / 2023. 8. 14. 17:31

갤럭시 Z플립5 커버스크린 플렉스 윈도우 완벽 활용법 4가지

반응형

 

 

플립4와 플립5 커버스크린 비교

먼저 기본 기능부터 살펴보자면 플립4의 경우 커버스크린을 1.9인치, 플립5는 3.4인치 스크린을 탑재했습니다. 근데 이게 수치상 1.9인치와 3.4인치라고 하니까 뭔가 크기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아 보이지만 실물로는 엄청 크게 차이가 납니다. 기존 Z플립4와 플립5 모두 위아래로 움직여서 화면 밝기나 손전등을 사용할 수 있고 왼쪽으로 가면 알림 센터가 나오고 오른쪽으로 가면 위젯이 나오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화면의 크기나 메커니즘이 조금 달라진 듯 보입니다.
 
 

플렉스 윈도우 커버활용 및 기능

이번에 삼성에서 플렉스 윈도우라고 커버에 있는 디스플레이에 고휘도 모드를 새롭게 적용했습니다. 그래서 밝기도 최대 1000 니트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화면에서는 제어센터를 아래로 내리면 8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손전능 기능을 눌렀을 때 LED 플래시가 나오게 되면 강한 불빛으로 눈에 무리 없도록 알림이 뜨고 측면 버튼 한 번으로 플래시 on/off 조작도 가능합니다. 화면녹화 기능도 있습니다. 커버스크린에서 화면 녹화할 일이 있을까 했는데 결과물을 보니 조작화면이 캡처화면처럼 녹화가 됩니다. 실제 기기화면에서 가려진 노치 있는 영역까지 1:1 비율로 만들어져서 녹화가 됩니다. 모드에 있는 수면루틴 등을 바로바로 사용하기에 좋은 기능 같습니다. 시계위젯의 경우 커버 화면에서 새로 추가하기> 최근 항목으로 들어가면 폰트 크기조절과 위치조정이 가능합니다. 미세한 위치 조정은 되지 않고 설정된 값에서만 조절이 가능해서 그 부분이 조금 아쉽지만 확실히 디스플레이 화면이 커지니 훨씬 만족도는 높습니다. 위젯 추가화면에서 통화기록화면 오른쪽 모서리 부분을 누르면 바로 삼성 전화 앱처럼 화면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커버해서 전화를 걸게 되면 기본값이 스피커폰으로 되어있습니다. 화면에서 키패드도 사용할 수 있고 전화가 왔을 경우에도 커버에서 받으면 스피커가 켜집니다. 이때 손으로 커버를 가리면 자동으로 무음모드가 됩니다.

 

실험실 기능 디스플레이 커버 활용

네이게이션 기능 활용 실험실 > [커버 화면에서 메인 화면에 내비게이션 기능사용] 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에 있는 기본 내비게이션 바(홈화면 버튼)를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께 가장 좋은 기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기능을 켜면 홈 화면에서는 뜨지 않고 왼쪽/오른쪽으로 화면을 이동했을 때 홈화면 버튼이 새롭게 생깁니다. 커버 화면에서 카톡기능도 살펴보겠습니다. 카톡을 열게 되면 그냥 우리가 일반 스마트폰에서 카톡 쓰는 것과 동일하게 커버화면에 보입니다. 카톡을 보내는 것도 사진과 이모티콘 사용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젯도 순서 변경이 자유롭게 가능하고 줌인하면 총 9개의 위젯을 띄어 놓을 수 있고 위젯이 많다면 스크롤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앱 사용 기능 실험실>[커버화면에서 앱 사용하기] 삼성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앱이 아닌 기본 서드파티 앱들도 커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이 기능을 켜면 커버 디스플레이에 탭이 생성됩니다. 넷플릭스나 유튜브, 구글맵 다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UI들이 크다 보니까 커버 화면에서 보기에는 영역이 작기 때문에 감안해야겠지만 보는데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커버 활용을 위한 굿락 사용방법

여기서 또 궁금해 할 만한 사항이 있습니다. 그럼 이렇게 삼성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앱 말고는 사용에 불가능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에서 불편하다, 무엇이이상하다. 그래서 굿락을 설치하라는 밈이 생겼습니다. 플립에서도 굿락을 설치하면 커버를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굿락설치 > 굿락 > 편리한 갤럭시 > Multistar > I♡Galaxy Fodable > 런처위젯 설정을 하게 되면 굿락에서 런처 위젯을 만들어냅니다. 이 상태에서 유튜브를 재생도중 폴드를 펼치면 연속성으로 화면 그대로 나옵니다. 커버해서 사용하던 것을 메인으로 열었을 때 자동으로 이어지게 해주는 기능도 모두 추가가 되어 있습니다. 긱벤치도 또한 화면 비율에 맞춰서 나오고 3D마크도 비율에 맞춰서 보입니다. 유튜브, 뮤직이나 멜론과 같은 음악앱을 컨트롤할 때 훨씬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게임플레이도 가능합니다. 화면이 작지만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떠한 앱까지 사용할 수 있나 하는 궁금증과 기능을 보았습니다.
 

여러 가지 앱과 기능

자주 쓸법한 앱 몇 가지를 테스트해 봤습니다. 먼저 이제 스마트폰으로 많이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앱들, 그리고 구글지도 외에 다른 지도 앱들과 생활 속에서 많이 쓰이는 당근마켓이나 배달의민족 앱들, 기본 앱보다 많이 활용하는 카메라앱도 살펴보았습니다. 플립 4에 있었던 커버스크린과는 조금방식이 많이 다른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플립 4에 있는 커버 스크린을 간단한 위젯 형태로 작동하는듯한 느낌이었고 플립 5에 있는 것은 마치 Z폴드에 있는 커버 스크린처럼 별도의 안드로이드가 여기서 작동하는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위젯 같은 경우에도 다양하게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플립 4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가면 밝기도 메인화면과 커버화면 두 가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플립 5는 메인만 설정 가능하고 커버설정은 커버화면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커버에서 작동하는 안드로이드에서 설정을 해야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 근데 사용해 보니까 삼성에서 이걸 굿락으로 기능을 따로 뺀 이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굿락까지 설치해서 별도의 앱을 커버스크린까지 쓴다면 플립이나 폴더를 사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커버 스크린을 간단한 위젯 정도로 활용하는데 의를 두라고 해서 여러 가지 써드파티 앱들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게 기능을 따로 뺀 것 같습니다. 플립 5는 사용할수록 커버스크린이 크니까 활용도가 너무 좋긴 한데  메인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또 플립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커버스크린에서는 간단한 것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펼쳐서 사용하는 게 훨씬 더 편하고 좋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